봉천동 EGG YELLOW 수익성 제고 방안
2017.10 - 2018. 01
조세은
서울시 관악구 봉천동 소재 '에그옐로우' 물건 매입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수익성 분석 결과 첫째, 점진적인 임대료 하락과
둘째, 빌딩 실거래 가격과 수익환원법에 의한 부동산 가액의 차이가 현저하였기에 따라서 프로젝트를 기각하는 것으로 결정내렸다.
비록 에그옐로우 매입 프로젝트는 사업성이 없는 것으로 결론 내려졌지만,
시장 환경 분석 결과 에그옐로우의 입지와 서울대입구역의 상권은 성장 가능성이 높아 보였다.
따라서 추후 에그옐로우의 수익성 제고를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PART 01. 투자물건 소개
PART 02. 시장환경분석
PART 03. 운영전략 (기각 전)
PART 04. 수익성분석 및 제고방안 (기각 결정 후)
PART01. 투자 물건 소개

투자 물건 소개
봉천동 EGG YELLOW는 2006년 준공된 신축 건물이며, 기타 대형 종합 소매업(G47119) 내 경쟁 순위 38위 (NICE기업정보, 2015년 기준)
서울대입구역 주변 유일한 고층 종합쇼핑몰로 조망권을 확보 하고 있고, 랜드마크의 가능성이 농후.
큰 특징으로는 669개의 구획으로 구분 등기된 상가라는 점.
STAKING PLAN & 입주업체
Fashion (약 40%)
Entertainment (17.6%)
F&B (15.7%)
Office (8.8%)
H&B (7.8%)
Fitness (5.8%)
others (약 4.3%)


광역 입지 특성
행정, 상업, 문화, 대학 등의 특화된 기능의 융복합을 통하여 서남권의 복합문화거점으로 판단됨.
관악구는 지하철 2호선을 통한 편리한 사당,강남 접근성과 주변 주거단지가 형성되면서 중심판매상권으로 성장하였음.
또한 관악구는 업무인구 및 신혼 부부세대의 선호되는 주거지역임. 따라서 구매력이 양호한 20-30대 연령층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관악구 51% - 서울시 평균 35%) 인구통계 특성을 보유하고 있음. 또한, 서울대, 숭실대, 중앙대 등이 인접하여 대학문화가 발달된 지역특성을 지니고 있음. 즉, 두터운 소비층을 구성하고 있음.
입지 특성
<서울 서남부 지역의 대표 상권이자 관악로 일대 최상급지 평가>
서울대입구역 상권은 다양한 계층의 풍부한 유동인구가 있고, 주7일 상권의 이점이 있음
관악구 세대수는 약 24만세대(인구55만명)로 서울25개 자치구 중 2위 규모
본건은 서울 시내 268개 지하철역 중 승하차 객수가 10위로 (1일 평균 약 10만명) 많은 서울대입구역과 지하 2층으로 직접 연결되어 있음


서울대입구역 상권 특성
최근 소위 뜨고있는 스트리트형 상가 밀집지역인 ‘샤로수길’과 인접해 있어 상권 발달에 연계가능성이 높음
서울대입구역 유동인구는 일일 약 10만명으로 추산되며, 서울대학교에서 나오는 학생들의 이동수단인 마을버스 및 셔틀버스가 운행되고 이곳을 통과하는 일반버스들의 노선으로 인해 접근성이 뛰어남.
상권 자체의 소비인구는 주로 젊은층의 대학생과 직장인이며 특히 출퇴근 시간대 및 점심시간에 상주인구가 높음.
교통은 비교적 양호한 편으로 지하철 2호선을 비롯하여 지상도로망 8차선 대로인 봉천로와 남부순환로가 교차하고 있어 차량을 통한 인구의 밀집도 또한 상당히 높은편
PART 02. 시장 동향

경제성장 전망
11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한 세계 경제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올해와 내년 성장률 전망치로 각각 3.2%와 3.0%를 제시
이는 2017년 OECD 주요 회원국 성장률 전망치 중 1위에 해당하는 수치
2017년 3분기 경제성장률(실질 GDP 성장률)은 3.6%로 2014년 1분기 이후 최고의 수치를 달성
소비자 심리지수
최근 중국과의 사드 갈등이 해소됨과 더불어 북핵 리스크가 줄어듦에 따라 소비자 심리 지수가 6년 11개월 만에 최고 수준으로 개선됨
따라서 소비 심리 위축과 소매 판매 감소로 소폭 상승했던 중대형 상가 공실률을 낮춰줄 것으로 기대 됨


수익형 부동산의 호재
정부의 부동산 대책 발표로 주거용 부동산에 대한 투자 억제
투자자들이 상가 등 수익형 부동산으로 눈을 돌리는 추세
올해 10월까지 거래된 상업·업무용 부동산은 31만 17건으로 기록 이래 최고치
기준 금리가 0.25%p 상승했으나, 예금 금리에 반영되는 속도와 상승폭을 감안하면, 여전히 수익형 부동산에 투자할 가치가 충분함.
이는 투자 자금 모집에 긍정적인 신호로 볼 수 있음
리테일 시장 동향 (1)
2016년 청탁금지법 시행 등 악재에도 불구하고, 2016년 국내 소매 유통시장은 전년대비 4.3% 증가한 385조원
소비시장의 회복은 메르스 기저효과 때문으로 판단됨
2017년 전체 유통시장 규모는 393조원 규모로 2.1%의 성장 예상
2013년 이후 소매업 전체 시장 성장률이 소폭 개선되는 모습을 보임
이는 산업 내 비중이 커지고 있는 편의점, 아울렛, 면세점, 온라인쇼핑 채널이 높은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 ※특히 편의점과 온라인 비중의 증가는 1인 가구 수 증가 및 소비행태 변화에 기인


리테일 시장 동향 (2)
소비행태의 변화에 따라 편의점과 온라인 비중이 확대되며 유통업체 전체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으나, 여전히 주요 유통업체들 중 중·대형급 오프라인 유통업체의 매출이 2017년 상반기 기준 전체 매출의 과반 이상(51.3%)을 차지하고 있음
오프라인 유통업체들이 최근 다소 낮은 성장률(2.9%)을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3개년 10% 안팎의 성장률을 기록 중인 아울렛은 백화점이나 대형마트에 비해 성장성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매력적인 투자 대안으로 판단됨
PART 03. 운영 전략

< 라붐아울렛의 CONCEPT전환 01 >
: 대형서점 입점
교보문고 / 반디앤루니스 / 영풍문고 등 대형서점을 통한 집객력을 확보
앵커스토어를 통한 빌딩의 가치 상승 기대
서울대입구역 주변 대학생 수 현황
주변에 약 8만명의 대학생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렇다 할 대형 서점 전무 (서울대입구역 4번출구 앞 서점 알라딘의 경우, 프로젝트 프레젠테이션 이후 2018년 8월 경 오픈)
학생 뿐만 아니라 인근 직장인 및 주민의 수요도 많을 것으로 예상됨
따라서, 대형서점 입점은 집객력을 높이고 빌딩 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는 좋은 전략이라 판단


< 라붐아울렛의 CONCEPT전환 02 >
: 1인가구 공략 점포 입점
정체를 알 수 없는 잡다한 점포들을 정리하여 1인가구를 공략할 수 있는 점포 입점제시
select dining & Whole food market
대한민국 1인 가구 현황
/

